본문 바로가기
Prepare Ch.5/UX UI

[Netflix다큐] 익스플레인: 돈을 해설하다를 보고나서

by lalo 2023. 4. 18.
728x90

 

익스플레인: 돈을 해설하다 - 벼락부자 되는 법(22분)

다큐멘터리에서 역사적으로 계속 있어온 사기의 형태를 몇 가지 소개하는데, 그중에 인상 깊었던 것은 '코칭 사기'이다. 수익을 보장받는 것이 아니라, 돈을 벌 수 있는 지식을 보장받는 것이다. 이런 비법 전수 프로그램은 대개 만족스럽지 못하고, 점차 더 비싼 수업을 듣게 되는 경우가 파다하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코칭 사기를 하는 사람들은 1단계: 황홀한 보장 - 혹하는 이야기와 성공한 구매자의 증언

2단계: 긴박함 조성이라는 두 가지 수법을 주로 쓰는데, 이 방법이 지금 인스타나 유튜브에서 뜨고 있는 '전자책'과 '강의' 광고에서 쓰이는 것과 유사하다고 생각했다. 

 

 


미국에 와서 '나 자신'에 대해 많이 알게되었다. 거기에는 장점도 있고, 못난 부분도 있고, 단점도 있다. 한국이었으면 못난 부분은 숨기고, 단점은 커버하려고 노력을 했을 것 같은데, 미국에서는 모든 점을 '나' 그대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굳이 남과 비교해서 발견한 부족한 점보다는 '내가 남들보다 잘하는 것'에 집중하게 된다. 그리고 '차별성'은 미국에서 돈이 된다. 

 

나는 돈을 좋아한다.

요즘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지만, 내가 사회초년생일 때 '돈을 좋아하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것 같다. 그리고 공기업/공무원을 준비할 때, 이 특징은 부정부패를 저지르기 쉬운 직원으로 해석되기 일쑤였고, 사리사욕을 채우는 이기적이고 과시욕이 많은 사람으로 비춰지곤 했다. 그래서, '돈을 좋아한다'는 점을 숨겼던 것 같다.

 

하지만, 개인 비즈니스로 돈을 버는 사람들을 많이 만나면서 생각이 바뀌었다. 자본주의의 끝판왕, 소비의 천국인 미국은 다른 말로 표현하면, '팔것이 많은 나라'였고, 나는 어떻게 하면 내가 가진 걸로 돈을 벌 수 있을까?를 고민하기 시작했다. 영주권 이후의 삶을 준비하면서, 새로운 공부도 시작하고 사업아이템도 구상해 보면서 약 1년간 여러 가지 일을 경험해 봤다. 어떻게 하면 돈을 벌 수 있는지는 명확하게 눈에 보였다. 심할 때는 핫도그 하나를 먹으러 가서도 마진율은 얼마인가? 시급으로 환산하면? 등을 계산하면서 '수익레이더'를 가동하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 '자아실현 욕구'와 '돈을 벌고자하는 욕구'가 부딪히면서, 내가 하고 싶은 게 무엇인지 길을 잃은 느낌이 들었다. 

 

그러던 중 넷플릭스에서 이 다큐를 보게되었고, 내가 왜 마음이 불편해졌는지를 알게 되었다. 나는 '사기꾼'이 되기 싫은 것이다. 저렴한 것을 비싸게 팔아야 쉽게 부자가 되는데, 나는 그런 행위가 썩 내키지 않는 것이다.

 

반응형

그럼 나는 어떻게 돈을 벌 것인가?

넷플릭스 초반에 '인간은 서로 신뢰하도록 진화했어요'라는 말이 나온다. 그리고 아래 그래프는 신뢰 수준과 GDP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신뢰와 GDP의 상관관계

 

내가 하고자하는 길의 방향성을 정의해 보면,

 

1. 신뢰할 만한 사람이 되겠다.

: 감언이설로 남을 속이고, 화려한 수식어로 포장한 것이 아니라 '내 능력'자체가 인정받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다. 회사든 고객이든 미래에 나를 선택하는 사람이, 내가 진짜인지 아닌지 고민하는데 시간과 돈을 낭비하기보다는, 차라리 나에게 투자하거나 사회를 위해 썼으면 좋겠다. 

 

2. 자본금을 모아서 음식에 관련된 장사를 하게 된다면, '내가 돈 주고 사 먹을 가치가 있는 것'을 팔겠다.

: 여러 가지 일을 해보면서, 내가 일이 재미가 없어지는 순간이 언제인지 알게 되었다. 바로 내가 일하고 있는 곳의 상품이 돈 주고 사기 아깝다고 느껴질 때이다. 회사의 제품에 애정이 떨어지면, 동기부여가 안 되는 것이다. 소량생산을 하더라도 제대로 된 것을 만들어서 팔아야 오랫동안 내가 꾸준히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정리하면서 보니, 참... 쉬운 길을 놔두고 어렵게 가려는 것 같아 보이지만, 어쩌겠는가 이게 나인데. 한국에서 퇴사했을 때 엄마가 보내줬던 글이 생각난다.

목표가 고(高) 하니,
인생이 고(苦)하다.
그래도 고(Go)한다.

 

 

해당 에피소드로 영어공부하는 게시글도 남겨두어요👇

2023.04.18 - [Prepare Ch.5/English] - [Netflix로 영어공부] 익스플레인, 돈을 해설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