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성 분석을 하는 데는 Evaluation(평가)와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가 있다.
1. Evaluation: 전문가가 직접 UX품질을 측정하는 것.
2. Usability Test: 전문가가 사용자를 대상으로 UX품질을 측정하는 것.
이때,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평가 방법은 제이콥 닐슨의 10가지 휴리스틱 원칙이다.
(닐슨 로먼 그룹의 원문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며, 홈페이지에서 프린트용 포스터파일도 제공하니 출력해서 붙여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nngroup.com/articles/ten-usability-heuristics/
- UI디자인에 있어서 사용성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됨
- Evaluatuion으로 전문가가 직접 측정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에 효율적임
10 Usability Heuristics for User Interface Design
Heuristic을 구글에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이 검색된다.
1. enabling someone to discover or learn something for themselves.
"a “hands-on” or interactive heuristic approach to learning"
2. COMPUTING
proceeding to a solution by trial and error or by rules that are only loosely defined.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네이버에 검색해 보면, 아래와 같이 설명이 나온다.
* 어학사전: (교수법·교육이) 체험적인 [스스로 발견하게 하는]
* 백과사전: 그리스어로 「발견하다(to find)」란 의미가 있다. 문제의 답을 시행착오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구하는 것. 즉, 알고리즘이 확립되지 않았을 때 사용되는 문제 해결의 한 방법으로 도형 인식, 학습 과정, 자기 형성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답을 구하는 방법.
#1: Visibility of system status
제품 상태의 가시성
#2: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제품과 사용자 현실 세계의 조화
#3: User control and freedom
사용자에게 자유와 주도권을 제공(취소, 재실행, Undo)
#4: Consistency and standards
일관성과 표준성(특히, 최근 중시되는 맥락!)
#5: Error prevention
오류 방지
#6: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보는 것 만으로 이해 가능
#7: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유연성과 효율성(초보자와 숙련자 모두에게 사용 가능)
#8: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심적이고 단순한 디자인
#9: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오류인식, 진단, 복구 가능
#10: Help and documentation
도움말과 설명서
- iso 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서, Apple이 제공하는 Human Itnerface Guidelines을 확인해 볼 것.
- 각 요소가 위의 10가지 휴리스틱 원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확인해 볼 것.
- 아이폰 가이드에서 요구하는 특징과 애플워치 가이드에서 요구하는 특징은 다름: 왜 이런 차이가 생기는지 고민해 볼 것.
https://developer.apple.com/design/human-interface-guidelines/guidelines/overview
'Prepare Ch.5 > UX UI'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flix다큐] 익스플레인: 돈을 해설하다를 보고나서 (2) | 2023.04.18 |
---|---|
[UX/UI 공부일지] UX, CX, BX 개념 (0) | 2023.03.24 |
[UXUI공부일지] UX UI 개념 (0) | 2023.03.17 |
[EO이오]김은주 디자이너 및 홍민지 PD 인터뷰를 보면서 든 생각정리 (0) | 2023.03.15 |
[ChatGPT]chatGPT와의 대화 : chatGPT 너는 누구니 (0) | 2023.03.05 |
댓글